OMG! AI – 쫄병 훈련 시작합니다

요즘 뉴스나 SNS, 심지어 점심시간 대화에서도 AI 얘기가 안 나오는 날이 거의 없죠.
기능 업데이트, 새로운 서비스, “이건 진짜 혁신이다” 같은 얘기까지… 정말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집니다.

저는 2022년 11월, 챗GPT가 처음 공개됐을 때 바로 써봤어요.
IT 업계에서 PM으로 오래 일하면서 새로운 기술을 접하는 건 익숙했지만, 이건 느낌이 좀 달랐거든요.
당시에는 “이거 진짜 제대로 써먹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보다, “와, 이렇게도 대답을 하네?” 하는 신기함이 먼저였죠.

그 후로 틈날 때마다 챗GPT를 비롯한 AI 툴들을 써봤습니다.
간단한 자료 정리, 기획 아이디어 뽑기, 글 초안 만들기, 발표자료 만들기, 연말평가 작성 등등..ㅎㅎ
하지만 솔직히 말해, ‘한두 번 써본 경험’만으로는 이 기술의 진짜 가능성을 다 보기는 어렵더라고요.
요즘처럼 AI가 숨 쉴 틈 없이 발전하는 걸 보니, 그냥 가볍게 아는 수준으로는 부족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결심했죠.
이제는 제대로 써먹어보자. 그리고 AI를 내 쫄병처럼 부려먹어보자.


1. 왜 블로그를 시작했냐고요?

주변에 보면 AI 얘기는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봤지만, 정작 “어디다 써야 하는지”는 감이 안 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 동생(고등학교 한문 선생님), 부모님, 회사와는 거리가 있는 친구들까지… 다들 비슷합니다.
그런데 저는 조금 다른 출발점에 있죠.
IT 업계에서 일하면서 새로운 툴을 써보는 건 익숙하고, AI도 비교적 일찍 접했으니까요.

그렇다고 제가 AI 전문가냐? 그건 아닙니다.
다만, 먼저 발을 담가본 사람으로서 “이건 이렇게 쓰면 좋겠다”는 경험은 전해줄 수 있겠다 싶었어요.
원래 왕왕초보에게는 고수보다는 중수가 더 잘 알려줄 수 있는거 아니겠어요? 🤣
그리고 저 스스로도 더 깊게 배우고, 직접 써보고, 결과를 남기고 싶었습니다.


2. OMG! AI…? 무슨 뜻이냐?

이 블로그의 이름은 OMG! AI입니다.
여기서 ‘OMG’는 정말 그 뜻 그대로, “Oh My God!”이라는 감탄사입니다. 그런데 이 감탄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어요.

인공지능 AI의 회로를 상징하는 도형과 별 모양의 심볼이 함께 있는 OMG AI 브랜드 로고
OMG AI 브랜드를 상징하는 회로와 별이 함께 있는 로고

첫째, 놀람. 처음 챗GPT나 다른 AI 도구가 보여주는 결과물은 때로는 황당하고, 때로는 놀랍습니다. “이게 진짜 가능해?” 싶은 순간들이 있죠.

둘째, 깨달음. 단순히 기술적 신기함을 넘어서, ‘아 이걸 이렇게 쓸 수 있구나’ 하고 인식이 바뀌는 순간이 있습니다. 저 역시 아직 그런 순간을 몇 번밖에 겪지 못했지만, 앞으로 더 많이 경험하고 싶습니다.

이 블로그는 그 ‘OMG!’의 순간들을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3. 왜 ‘내 쫄병 AI’인가?

회사 다닐 때도 그렇고, 뭔가 내가 직접 하기 귀찮거나 시간이 많이 드는 일은 시켜서 처리하면 참 편하잖아요.
저한텐 AI가 딱 그런 존재가 될 것 같아요.
자료 조사, 글 초안, 아이디어 뽑기, 간단한 번역…
“이거 좀 해줘” 하고 던지면 척척 해주는 쫄병.

물론, 말귀 못 알아듣거나 엉뚱한 짓을 할 때도 있겠죠.
그건 뭐, 사람 쫄병도 똑같잖아요.
그래서 저는 이 블로그에서 AI라는 쫄병을 데리고, 같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점점 더 잘 부려먹는 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4. 앞으로 여기서 할 이야기

  1. AI 기초 – 챗GPT, 이미지 생성 AI, 음성 합성, 번역 등 가장 기초적인 기능부터
  2. 실전 활용 – 업무 자동화, 콘텐츠 제작, 아이디어 발상, 학습 도우미로 쓰는 방법
  3. 실험기 – 직접 써보고 ‘됐다/안 됐다’를 솔직하게 기록
  4. 생활 속 AI – 꼭 전문가가 아니어도, 일상에서 당장 써먹을 수 있는 팁
  5. 정보 정리 – 빠르게 변하는 뉴스 속에서 중요한 포인트만 추려서 공유

저는 AI 업계 전문가는 아닙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IT 업계에서 굴러본 경험으로 새로운 툴을 어떻게 쓰면 좋을지 찾는 데는 꽤 자신 있습니다. 그 경험과 시선을 바탕으로, AI를 좀 더 ‘쓸모 있는 도구’로 만드는 과정을 나누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각자의 쫄병을 만드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


5. 마무리

AI는 이제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는 도구예요.
중요한 건, 이 도구를 얼마나 잘 쓰느냐죠. 그냥 한두 번 써보고 “아, 이런 거구나” 하고 넘어가는 사람과,
꾸준히 AI를 활용해서 자기 방식대로 부려먹는 사람의 차이는 앞으로 더 커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블로그에서 AI를 단순한 실험 대상으로만 보지 않을 거예요.
제 업무, 개인 프로젝트, 심지어는 일상 속 작은 일들까지 AI를 적극적으로 끌어다 쓸 겁니다.
때로는 기대 이상으로 잘해낼 거고, 때로는 엉뚱한 결과를 내놓을 수도 있겠죠.
그 모든 과정을 ‘내 쫄병 AI 훈련일지’처럼 기록할 거예요.

혹시 지금 AI가 막연하게 어렵게 느껴지거나,
“나도 써봐야 할까?” 고민하는 분이 있다면 이 블로그가 작은 참고서가 되었으면 합니다.
성능 좋은 쫄병 하나를 곁에 두는 건, 생각보다 훨씬 든든하거든요.
그리고 그 쫄병이 AI라면, 앞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의 폭은 훨씬 넓어질 겁니다.

그러니, 이번이 당신의 AI와 첫 인사를 나누는 순간이 되길 바랍니다.
이제 저는 제 쫄병 AI와 함께 첫 훈련을 시작하러 갑니다.
같이 훈련하러 가실래요? 😎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