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스(Codex), Gemini CLI, Claude Code: AI CLI 비교 가이드(2025.09)

안녕하세요, 기획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멋진 PM/기획자 여러분! 🙋‍♂️ 혹시 기가 막힌 서비스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 “이걸 만들어줄 개발자가 없네…” 하고 아쉬워했던 경험 없으신가요? 혹시 챗지피티 유료는 쓰시는데 코덱스(Codex)는 어디에 쓰는지 모르시겠다구요?

저 역시 그랬습니다. 저의 첫 번째 도전이었던 ‘향수찾기 서비스'(향수 추천 MVP https://findperfume.theablelab.com)는 오로지 챗GPT와 제미나이의 도움만으로 만들어낸 기적(?)이었습니다. 진짜 이 때 생각하면, VS Code를 처음 설치하고, 세팅부터 모든 걸 다 챗지피티랑 했는데, 정말 노가다 그 자체였어요. 브라우저에서 챗지피티가 코드를 주면 그걸 그대로 VS Code에 넣고, 실행하고 하는건 제가 다 했거든요. 무식했죠. ㅋㅋ ㅠㅠ

그리고 이번에는 두 번째 프로젝트로 유튜브 영상 요약 서비스 ‘쏙튜브’ (기대해주세요 ㅋㅋ)라는 걸 AI와 함께 만들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저는 나름 치트키를 발견했습니다. 바로 CLI(Command Line Interface) 기반의 AI 코딩 도구에요. 아~ 왜 이제서야 제가 이걸 써 봤을까요.

이 도구들은 마치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코드로 바꿔주는 똑똑한 주니어 개발자 같아요. 오늘은 저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코덱스(Codex), 제미나이 CLI(Gemini CLI), 클로드 코드(Claude Code)라는 이 세 명의 AI 주니어 쫄병들을 소개해 드릴게요.


쉽게 푼 개념 설명: AI 주니어 개발자, 이 세 명을 주목하세요!

이 세 친구는 모두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에서 일합니다. 우리가 보통 쓰는 마우스 클릭 기반의 프로그램이 아니라, 검은 화면에 명령어를 직접 타이핑해서 사용하는 방식이죠. 영화에서 보면 해커들이 막 접속해서 타다다닥 입력하는 그 옛날 도스(Dos) 화면이요. 거부감이 좀 들긴하지만, 일단 얘가 나름대로 장점이 있어요.
왜 CLI인지는 제가 다음 글에서 다시 한 번 풀어보겠습니다.

세 AI를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투입할 주니어 개발자로 비유해 볼게요.

  • 코덱스(Codex): 팀에서 가장 뛰어난 코딩 실력을 가진 에이스 주니어입니다. 오픈AI의 GPT 기술을 기반으로, 복잡한 요청도 빠르게 이해하고 깔끔한 코드를 만들어냅니다. 다만, 일이 너무 많으면 잠시 쉬겠다고 파업을 하기도 해요. (저도 최근 3일 동안 일을 못 시키는 경험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ㅠㅠ)
  • 제미나이 CLI(Gemini CLI): 다양한 분야에 능통한 만능 주니어입니다. 구글의 제미나이 모델을 기반으로, 코딩뿐만 아니라 웹 검색, 파일 분석 등 여러 도구들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분석 능력은 뛰어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엉뚱한 코드를 짜거나, 자기가 계획한 대로 못했다고 사과를 자주 하는 아이입니다. 그런데 코덱스보다는 참 말을 이쁘게(?)한답니다. ‘이번에는 꼭 성공시켜보겠습니다!’ 이러거든요. ㅋㅋㅋ 진짜 주니어 개발자 같습니다.
  • 클로드 코드(Claude Code): 매우 꼼꼼하고 신중한 주니어입니다. 앤트로픽의 클로드 모델을 기반으로, 코딩을 시작하기 전에 항상 동의를 구하고,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복잡한 프로젝트도 체계적으로 다루지만, 조금 느리고 ‘네’라고 대답해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PM의 지시에 따라 Codex 및 CLI AI가 직접 컴퓨터로 코딩하는 모습
말로만 하세요. AI가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어 드립니다.

Codex (코덱스): 깐깐하지만 일 잘하는 개발 파트너

제가 가장 먼저 사랑하게 된 도구는 Codex였습니다.

장점

  • 정확도: 자연어 설명을 코드로 바꿀 때 실수율이 낮습니다. “회원가입” 같은 일반적인 기능은 거의 완벽에 가깝게 구현.
  • 리포 단위 관리: 단순히 코드 스니펫이 아니라, 저장소 전체를 건드리며 수정·테스트·커밋까지 해줍니다.
  • 높은 설계 능력: 셋 중 가장 설계능력이 뛰어나요.

단점과 한계

  • 리소스 제한: 너무 일을 시키면 과부하 메시지가 뜹니다. 실제로 저는 한 번에 많은 수정을 맡겼다가, “3일간 사용 불가”라는 통보를 받았어요. 😅
  • 복잡한 의존 관계 처리 한계: 단순 CRUD는 잘 하지만, 복잡한 아키텍처에서는 오락가락할 때가 있음.
  • 검토 필요: 생성된 코드가 늘 최적은 아니므로 QA 루틴은 여전히 필요. 많~이 필요.

무료/유료 여부

  • ChatGPT Plus 사용자라면 Codex도 기본 제공(GPT-5 Codex 라인).
  • 별도 무료 티어는 없고, 일정 한도 이상은 차단될 수 있음.

Gemini CLI (지미니 CLI): 풍부한 대화력, 하지만 아직 미숙한 손

지금은 주로 Gemini 2.5 Pro를 쓰고 있습니다. 혹시 기본이 2.5 Flash로 나온다면 꼭 Pro로 변경하세요.
2.5 Flash가 저지른 만행은 지금 생각해도 부들부들…입니다. ㅋ

장점

  • 분석과 설명: 어떤 코드가 왜 돌아가지 않는지 설명은 기가 막히게 잘합니다.
  • 멀티모달 지원: 구글답게 이미지, 영상까지 다룰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음.
  • 긴 맥락 처리: 최대 1M 토큰 컨텍스트 → 방대한 문서를 그대로 읽히는 게 가능.

단점과 한계

  • 코드 작성 능력 부족: Flash 모델은 특히 “write 기능”이 종종 삐끗합니다. 저도 같은 파일을 한 시간째 붙잡고 수정만 반복하는 상황을 겪었어요.
  • 안정성 문제: Pro 모델 접근이 막히거나 정책이 바뀌면 바로 한계에 부딪힘.
  • 속도와 비용: Flash는 빠르지만 품질이 낮고, Pro는 품질이 좋지만 유료 전환/제한이 많습니다.

무료/유료 여부

  • 무료 티어 있음.
  • 저는 현재 Gemini Pro 유료를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 중인데, 무료에서도 충분히 체험 가능.

Claude Code (클로드 코드): 친절한 설명가, 안정적인 보조자

Anthropic의 Claude도 CLI로 제공됩니다. “사람 중심 설계”라는 철학 덕분인지, 다른 도구들보다 대화가 편안합니다.

장점

  • 코드 설명: 처음 보는 리포라도 구조를 잘 설명해 줘서, PM이 코드베이스를 파악할 때 큰 도움.
  • 리팩토링/리뷰: 베스트 프랙티스에 맞게 개선 제안을 많이 해줍니다.
  • 온보딩: 신규 팀원이 프로젝트를 이해할 때 가이드처럼 활용하기 좋음.
  • 코드 생성 능력: 코드는 제일 잘 생성하는 것 같아요. 오류도 별로 없는 편.

단점과 한계

  • 설계 능력은 Codex보다 약함: 코덱스랑 비교하면 조금 약한 것 같다.. 정도입니다.
  • 요금제 비용: 무료 체험은 있지만 본격적으로 쓰려면 비용이 꽤 나갑니다.
  • 벤더 락인 리스크: OpenAI와 경쟁하다 보니 API 접근 정책이 자주 바뀝니다.

무료/유료 여부

  • Claude Pro 사용자라면 Claude code도 기본 제공
  • 별도 무료 티어는 없고, 일정 한도 이상은 차단될 수 있음.
  • 프로 기준으로 5시간마다 ~45개 메시지

세 도구 비교 요약표

도구장점단점/한계무료 사용 여부
Codex정확도 높음, 리포 단위 작업, 높은 설계 능력과부하 시 차단, 코드 작성 실수 있음ChatGPT Plus 내장, 별도 무료 없음
Gemini CLI분석력 뛰어남, 멀티모달, 긴 맥락코드 작성 취약(특히 Flash), 정책 불안정무료 티어 있음
Claude Code코드 설명·리뷰 강점, 코드 생성력 좋음부족한 설계 능력Claude Pro 내장, 별도 무료 없음

PM/기획자를 위한 시작 가이드

  1. 목표부터 적어라
    개발자가 아니라면, “이 기능을 만들어줘”보다 “내 서비스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가”를 먼저 적는 게 좋습니다. AI는 스펙보다 맥락을 잘 이해할 때 더 잘 작동합니다. 이거 우리가 제일 잘하는거잖아요! ㅎㅎ
  2. 작게 쪼개라
    한 번에 거대한 요구사항을 넣으면 코덱스도 버거워합니다. “회원가입 화면 → 입력값 검증 → 데이터 저장”처럼 작은 단위로 쪼개야 결과물이 안정적입니다.
  3. 툴을 섞어 써라
    • 코덱스: 코드 설계·리팩토링·리뷰
    • 지미니 CLI: 분석·설명·긴 맥락 이해
    • 클로드 코드: 실제 코드 작성·수정·커밋
      저는 이렇게 세 역할을 나눠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활용 예시: 저의 ‘쏙튜브’ 개발 경험

제가 지금 진행 중인 ‘쏙튜브’라는 프로젝트는 목업 화면을 피그마 메이크(Figma Make)로 만들었어요. 단 15줄 남짓의 기획서를 입력했더니, 몇 초 만에 그럴듯한 화면 목업이 만들어졌어요. V0 랑도 비교해봤는데, 저는 피그마 디자인이 더 예뻐서 피그마 결과물로 시작했습니다. 암튼 이렇게 시각적인 설계도가 나와서 좀 더 단단해진 아이디어로 이제 AI에게 코드를 부탁했습니다.

  • 1단계 (기획): “사용자 맞춤형 유튜브 요약 알림 서비스의 목업 화면을 만들어줘.” – 피그마 메이크 활용
  • 2단계 (코딩): “자, 프론트 화면이 있는거 확인해. 이제 기능을 구현하자.” – 코덱스/제미나이 CLI 활용

처음에는 에이스 주니어 코덱스와 함께 일했습니다. 코덱스는 제 기획 의도를 찰떡같이 이해하고, 아주 깔끔하고 완성도 높은 코드를 뚝딱 만들어줬어요.

하지만 코덱스가 갑자기 ‘3일 휴가’를 떠나면서, 저는 제미나이 CLI와 함께 일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면 목업을 가지고 코드를 작성해 줘”라고 요청했죠. 제미나이 2.5 Pro는 똑똑한데 2.5 Flash는 저는 진짜 아니라고 말하고 싶어요.
2.5 Flash가 저지른 만행은 진짜….부들부들 입니다. 으휴
제미나이 CLI를 무료로 사용하셔도 2.5 Pro로 하실 수 있으니 모델 꼭 확인하시고, 만약 2.5 Flash면 모델을 바꿔보세요.

이처럼 AI도 만능은 아닙니다. AI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내 프로젝트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하기 단계: 나만의 AI 주니어 고용하기

PM/기획자 여러분, 이제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직접 코딩으로 옮겨볼 시간입니다.

1단계: 터미널 준비

윈도우는 ‘명령 프롬프트’ 또는 ‘파워쉘’, 맥은 ‘터미널’ 앱을 실행하세요. 이 검은 화면이 바로 AI 주니어들과 소통할 사무실입니다.

2단계: 설치 및 설정하기

각 AI 주니어는 고용하기 전에 몇 가지 서류(설치) 작업이 필요합니다.

  • 코덱스(Codex): 챗GPT 플러스 사용자라면, 별도 설치 없이 바로 터미널에서 codex 명령어를 입력해 사용할 수 있어요.
  • 제미나이 CLI: 구글 클라우드 SDK를 설치하고 인증해야 합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한글 가이드가 잘 되어 있으니, 그대로 따라 해보세요. 무료 사용이 가능해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클로드 코드: 클로드 프로 사용자라면 명령어 한 두 줄로 바로 사용 가능해요.
    👉 클로드 코드 시작하기 글을 참고해주세요.

3단계: 명령어 입력하기

설치가 끝났다면, 이제 터미널에서 AI 주니어에게 명령을 내릴 차례입니다.

  • “로그인 페이지 만들어줘”: codex create_login_page
  • “파이썬으로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줘”: gemini ask '파이썬으로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줘'
  • “오늘 날짜를 보여주는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작성해줘”: claude generate '오늘 날짜를 보여주는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작성해줘'

이렇게 간단한 명령어만으로도 AI가 알아서 코드를 생성해 줍니다. 복잡한 코드는 AI에게 맡기고, 여러분은 기획과 사용자 경험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장단점 및 한계: 현업 PM이 느낀 점

저는 PM 출신으로, 처음에는 “내가 이걸 할 수 있을까?” 싶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향수 추천 서비스쏙튜브까지 혼자서 만들고 있어요.

물론, 이 도구들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Codex는 일 잘하지만 피곤하면 파업(?)을 하고, Gemini는 분석만 하다 마무리를 못 짓기도 합니다. Claude는 친절하지만 손발이 조금 느리죠.

그럼에도 중요한 건, 개발자가 없어도 시작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여러분이 PM이든 기획자든, 이제는 아이디어를 현실로 옮길 최소한의 도구는 손에 쥘 수 있게 된 거예요.


오늘의 치트키 정리 ✨

  • 돈 들이지 않고 아이디어를 빠르게 MVP로 만들어보고 싶다면: 구글 AI 스튜디오와 제미나이 CLI를 적극 활용하세요. 무료로 시작할 수 있어 부담이 없습니다.
  • 클로드와 챗지피티 중 유료를 하나라도 사용하고 계시다면 그거 쓰세요! 둘 다 비슷해요.
  • 둘 중 하나를 꼭 고르라면… 저는.. 지금은 (2025년 9월 기준) 코덱스를 추천드려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