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5] 다이어트 주사 비교 완전정리 [위고비 vs 삭센다 vs 마운자로] (2025.10)

“주 1회 주사로 15kg 감량!” “의사들도 쓰는 다이어트 주사” —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다이어트 주사가 화제입니다. 2024년 10월 국내에 출시된 위고비(Wegovy)를 비롯해 삭센다(Saxenda), 마운자로(Mounjaro) 등 다양한 제품들이 ‘꿈의 다이어트 주사’로 주목받고 있어요.

하지만 제품마다 성분과 효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부작용은 없을까요?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세 가지 주요 다이어트 주사를 과학적 근거로 철저히 비교 분석합니다.


주장 요약

현재 국내외에서 유통되는 주요 다이어트 주사 제품들의 광고 및 판매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삭센다 (Saxenda)

“매일 1회 자가주사로 평균 8% 체중 감량 효과가 입증된 비만 치료제입니다.” (노보 노디스크 공식 자료)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가시켜 체중 감량 및 내장지방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국내 다이어트 클리닉)

위고비 (Wegovy)

“주 1회 주사로 68주간 평균 15% 체중 감량! 삭센다보다 두 배 가까운 효과.” (건강정보 사이트)

“심혈관계 위험 감소 효과까지 입증된 차세대 비만 치료제입니다.” (의료 정보 플랫폼)

마운자로 (Mounjaro)

“GLP-1과 GIP 이중 작용으로 최대 20% 이상 체중 감량 가능!” (해외 제약 정보)

“기존 다이어트 주사를 뛰어넘는 혁신적 체중 감량 효과를 보여줍니다.” (다이어트 커뮤니티)

다이어트 주사 종류 비교 -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주사 펜
현대 비만 치료제의 대표 주자인 GLP-1 수용체 작용제 주사들 (이미지는 설명을 위한 개념도로 AI가 생성하였습니다)

팩트체크

1. 작용 원리와 성분 차이

세 제품 모두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호르몬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GLP-1은 우리 몸에서 음식을 먹을 때 자연스럽게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뇌에 “배부르다”는 신호를 보내 식욕을 조절하고 위 배출을 늦추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성분 비교:

  • 삭센다: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 GLP-1 단일 작용제
  • 위고비: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 GLP-1 단일 작용제, 삭센다보다 긴 반감기
  • 마운자로: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 — GLP-1 + GIP 이중 작용제

마운자로는 GLP-1뿐 아니라 GIP(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 촉진 폴리펩타이드)라는 호르몬도 함께 자극합니다. GIP는 지방 대사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또 다른 인크레틴 호르몬이에요. 이 이중 작용 방식이 마운자로의 가장 큰 차별점입니다.

2. 체중 감량 효과 — 임상 데이터 비교

삭센다 (리라글루타이드 3.0mg)

근거 등급: A (체계적 문헌고찰/RCT)

2022년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 삭센다 3.0mg을 56주간 투여했을 때 평균 5.24kg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초기 체중의 약 8%에 해당합니다. 실제 임상 환경에서는 1년간 삭센다 사용 시 평균 2.2%의 체중 감량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위고비 (세마글루타이드 2.4mg)

근거 등급: A (체계적 문헌고찰/RCT)

위고비 2.4mg을 68주간 투여한 STEP 1 임상시험에서는 평균 12.47kg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초기 체중의 약 14.9%에 해당합니다. 삭센다와 직접 비교한 STEP 8 연구에서 위고비는 삭센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실제 임상 환경에서는 1년간 위고비 사용 시 평균 5.1%의 체중 감량을 보였으며, 이는 삭센다의 2.2%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마운자로 (티르제파타이드 10-15mg)

근거 등급: A (체계적 문헌고찰/RCT)

SURMOUNT-1 임상시험에서 티르제파타이드 15mg을 72주간 투여한 결과, 평균 체중의 약 20% 감량 효과를 보였습니다. 2025년 발표된 SURMOUNT-5 연구에서는 마운자로가 위고비와 직접 비교되었으며, 72주 후 마운자로는 평균 20.2%의 체중 감량을 보인 반면 위고비는 13.7%의 감량을 보여 마운자로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습니다.

⚠️ 중요: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효과 차이

2025년 Cleveland Clinic 연구에 따르면, 실제 임상 환경에서는 임상시험보다 훨씬 적은 체중 감량이 관찰됩니다. 그 이유는:

  • 20% 이상의 환자가 조기 중단
  • 80% 이상이 낮은 유지 용량 사용
  • 불규칙한 투약

효과 비교표:

제품명임상시험 평균 감량실제 임상 평균 감량*실제 임상 (지속+고용량)기간투여 횟수
삭센다8% 2.2%데이터 없음56주매일 1회
위고비15% 5.1%13.7%68주주 1회
마운자로20%데이터 없음**18.0%72주주 1회

*실제 임상 = 조기 중단, 낮은 용량 사용자 모두 포함한 현실 데이터
**마운자로는 2025년 8월 출시로 대규모 실제 임상 데이터가 아직 축적되지 않음

💡 핵심: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높은 유지 용량으로 꾸준히 사용한 환자들만이 임상시험에 근접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3. 부작용 및 안전성

위장관계 부작용 (가장 흔함)

근거 등급: A

세 제품 모두 가장 흔한 부작용은 구역, 구토, 설사, 변비 등 위장관계 증상입니다. 제품별 비교 연구에 따르면 위고비가 전체 부작용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삭센다가 중증 부작용 발생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마운자로는 용량(5mg~15mg)에 관계없이 위장관계 부작용 발생률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췌장염 위험

근거 등급: A

최근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췌장염 위험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담석증(cholelithiasis)의 위험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췌장염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도 GLP-1 작용제 사용 시 재발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실제 임상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마운자로의 경우 급성 췌장염 발생률이 5mg에서 15mg 용량 모두에서 0.3~0.4%로 유사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요요 현상

근거 등급: A

SURMOUNT-4 연구에서 마운자로를 36주간 사용하여 평균 20.9% 체중 감량 후 약물을 중단한 그룹은 52주 후 14.0%의 체중이 다시 증가한 반면, 계속 사용한 그룹은 추가로 5.5% 더 감량되었습니다. 이는 다이어트 주사가 단기 해결책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치료임을 보여줍니다.
다이어트 주사의 원리를 보면 결국 식이조절에 도움을 주는 것이니만큼 요요가 안 생길 수는 없다는 뜻이겠지요.

4. 처방 대상 및 금기사항

근거 등급: B (정부 기관 가이드라인)

세 제품 모두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성인에게 처방됩니다:

  • BMI 30kg/m² 이상인 비만 환자
  • BMI 27kg/m² 이상이면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1개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과체중 환자

투여 금지 대상:

  • 갑상선 수질암 환자 또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
  •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환자
  • 임산부 및 수유부
  • 만 18세 미만 소아청소년
  • 만 75세 이상 고령자
  • 중증 위장관 질환 환자

5. 비용 및 접근성

2025년 기준 국내 현황:

  • 삭센다: 1펜(6일~1개월 사용) 약 7~15만원
  • 위고비: 4주분 도매가 약 37~40만원 (2025년 2월 기준)
  • 마운자로: 4주분 2.5mg 약 27.8만원, 5mg 약 36.9만원, 7.5mg/10mg 약 52만원 (2025년 8월 출시)

2024년 12월 2일부터 보건복지부 방침에 따라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등 비만 치료제의 비대면 처방이 전면 제한되었으며, 2025년에도 이 정책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대면 진료 후 처방받아야 합니다.

다이어트 주사 세 제품 모두 비급여 항목으로 보험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종합 판단

다이어트 주사의 주장 별 근거 수준 평가

주장제품근거 등급판정
평균 8% 체중 감량삭센다ATRUE
평균 15% 체중 감량위고비ATRUE
평균 20% 체중 감량마운자로ATRUE
심혈관 위험 감소위고비ATRUE
위고비가 삭센다보다 2배 효과적위고비ATRUE
마운자로가 위고비보다 우수마운자로ATRUE
마운자로 국내 비만 적응증 승인마운자로ATRUE (2024.07 승인, 2025.08 출시)
췌장염 위험 증가세 제품 모두AFALSE
약물 중단 시 요요 없음세 제품 모두AFALSE

Verdict: MOSTLY TRUE (부분적으로 참)

다이어트 주사의 체중 감량 효과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삭센다는 8%, 위고비는 15%, 마운자로는 20%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어요. 다만 다음 사항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 확인된 사실:

  • 임상시험에서 입증된 유의미한 체중 감량 효과
  • 마운자로 > 위고비 > 삭센다 순서의 효과
  • 주 1회 투여(위고비, 마운자로)가 매일 투여(삭센다)보다 편리
  • 주로 위장관계 부작용이 흔하나 대부분 경증

❌ 주의해야 할 점:

  • 실제 임상에서는 임상시험보다 효과가 적음 (약 1/2~2/3 수준)
  • 약물 중단 시 상당한 체중 재증가 (요요 현상)
  • 식이조절과 운동 병행이 필수
  • 모든 사람에게 효과적이지 않음
  • 비싼 비용과 평생 투여 가능성

안전성 종합 평가

대규모 심혈관 결과 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급성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급격한 체중 감량에 따른 담석증 위험은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마운자로를 3년간 장기 투여한 연구에서 비만 환자의 당뇨병 진행 위험이 93% 감소했으며(위약 대비 13.3% vs 1.3%), 치료 중단 17주 후에도 당뇨병 발생률이 낮게 유지되었습니다.

선택 가이드

삭센다를 고려할 만한 경우:

  •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 선호
  • 소량부터 천천히 시작하고 싶은 경우
  • 주사 공포가 있어 작은 용량으로 매일 맞는 것이 편한 경우

위고비를 고려할 만한 경우:

  • 주 1회 투여의 편의성 선호
  • 중등도 이상의 체중 감량 목표 (10-15%)
  •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는 비만 환자

마운자로를 고려할 만한 경우:

  • 최대 체중 감량 효과 원하는 경우 (15-20%)
  • 당뇨병이 있거나 전단계이면서 혈당 조절이 필요한 경우
  • 위고비로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 ※ 2025년 8월부터 국내 처방 가능

결국 중요한 건 ‘과학적 근거를 확인하고 전문의와 상담 후 현명하게 선택하는 것’이에요. 다이어트 주사는 마법의 해결책이 아니라 종합적인 생활습관 개선의 보조 수단 임을 기억하세요. 🌿

⚠️ 이 글은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 문헌

  1. Rubino DM, Greenway FL, Khalid U, et al. Effect of Weekly Subcutaneous Semaglutide vs Daily Liraglutide on Body Weight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Without Diabetes: The STEP 8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22;327(2):138-150. https://pubmed.ncbi.nlm.nih.gov/35015037/
  2. O’Neil PM, Birkenfeld AL, McGowan B,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semaglutide compared with liraglutide and placebo for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obesity: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 and active controlled, dose-ranging, phase 2 trial. Lancet. 2018;392(10148):637-649. https://pubmed.ncbi.nlm.nih.gov/30122305/
  3. Shi Q, Wang Y, Hao Q,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Liraglutide and Semaglutide on Weight Loss in People with Obesity or Overweight: A Systematic Review. Clin Epidemiol. 2022;14:1463-1476. https://pubmed.ncbi.nlm.nih.gov/36510488/
  4. Wilding JPH, Batterham RL, Calanna S, et al. Once-Weekly 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N Engl J Med. 2021;384(11):989-1002. https://pubmed.ncbi.nlm.nih.gov/33567185/
  5. Wharton S, Calanna S, Davies M, et al. One-Year Weight Reduction With Semaglutide or Liraglutide in Clinical Practice. JAMA Netw Open. 2024;7(9):e2433305. https://pubmed.ncbi.nlm.nih.gov/39269703/
  6. Jastreboff AM, Aronne LJ, Ahmad NN, et al. Tirzepatide Once Weekly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N Engl J Med. 2022;387(3):205-216.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206038
  7. Garvey WT, Frias JP, Jastreboff AM, et al. Tirzepatide as Compared with Semaglutid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N Engl J Med. 2025;392(19):1753-1767.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416394
  8. Gasoyan H, Tajeu G, Chen M, et al. Cleveland Clinic Research Finds Injectable Medications for Obesity Produce Smaller Weight Loss in A Real-World Setting. Cleveland Clinic Newsroom. 2025. https://newsroom.clevelandclinic.org/2025/06/10/cleveland-clinic-research-finds-injectable-medications-for-obesity-produce-smaller-weight-loss-in-a-real-world-setting-compared-to-randomized-clinical-trials
  9. Aronne LJ, Sattar N, Horn DB, et al. Continued Treatment With Tirzepatide for Maintenance of Weight Reduction in Adults With Obesity: The SURMOUNT-4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24;331(1):38-48. https://pubmed.ncbi.nlm.nih.gov/38078870/
  10. Garvey WT, Frias JP, Jastreboff AM, et al. Tirzepatide for Obesity Treatment and Diabetes Prevention. N Engl J Med. 2024;391(20):1943-1957.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410819
  11. Basha AR, Parekh TM, Fadel MG.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nd pancreatitis: A reconcilable divorce. Cleve Clin J Med. 2025;92(8):483-490. https://www.ccjm.org/content/92/8/483
  12. Hussein H, Zaccardi F, Khunti K, et al. The incidence of acute pancreatitis with GLP-1 receptor agonist therapy in individuals with a known history of pancreatitis. Diabetes Res Clin Pract. 2024;214:111770. https://pubmed.ncbi.nlm.nih.gov/39111552/
  13. Monami M, Nreu B, Scatena A, et al. Safety issues with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pancreatitis, pancreatic cancer and cholelithiasis): Data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iabetes Obes Metab. 2017;19(9):1233-1241. https://pubmed.ncbi.nlm.nih.gov/28244632/
  14. Frias JP, Bonora E, Nevarez Ruiz L, et al. Adverse Effects of GLP-1 Receptor Agonists. Int J Mol Sci. 2015;16(9):20639-20658.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397288/
  15. He L, Wang J, Ping F, et al. GLP-1 receptor agonists and pancreatic safety concern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data from cardiovascular outcome trials. Endocrine. 2020;68(3):518-525. https://pubmed.ncbi.nlm.nih.gov/32103407/
  16. 한국릴리. 마운자로, 만성 체중 관리 적응증에 대해 국내 허가. 바이오스펙테이터. 2024.08.01.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2709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